2024년 독일 사회 주요 이슈

2024년 독일 사회 주요 이슈 안녕하세요! 지난해는 독일에 사는 많은 사람들에게 위기의 해로 여겨졌습니다. 현재도 독일 내 분위기가 좋지는 않은 상황인데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2024년에 독일 주요 테마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2024년은 독일에 있어 운명적인 해가 될 수 있는데요, 오늘 글을 통해 함께 알아보시죠!

Continue reading

독일에서 우유 대신 식물성 우유를 마신다는 건?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유와 식물성 드링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우유“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세요? 저에게 우유는 어렸을 때 항상 접했던 음식입니다. 키 크고 잘 자라라고 부모님이 항상 챙겨주셨고 학교에서도 매일 하나씩 우유가 급식으로 나왔기 때문에 건강, 성장을 위해 먹어야 하는 음식이라는 느낌입니다. (물론 어릴 때 너무 흰우유를 먹어서 질려버린 면도..) 성인이 된 지금은 어렸을 때 같이 흰 우유로 먹기보다 카푸치노와 라떼 같이 커피 음료로 주로 마시게 되네요. 한편 독일에서 우유는 종종 감정적인 토론 주제가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독일 내 ‚우유‘ 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Continue reading

독일에서 싱글로 산다는 것

독일에서 싱글로 산다는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독일에서 싱글로 사는 것이라는 주제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블로그를 같이  운영하는 Soy가 이 글의 해석을 도와주었습니다. 😊 독일인의 시선에서 싱글로 산다는 것은 어떤지 흥미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독일에서 싱글로 산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이 글에서 저는 독일에서 싱글라이프가 한국에서 싱글라이프와 어떻게 다른지 써보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곧 한국에서의 싱글라이프에 대한 글을 발행할 예정입니다. 저희 블로그에서 특히 인기가 많은 주제가 사랑, 데이트에 관련한 주제입니다. 독일과 한국은 다른 문화이기에 다른 문화권의 사랑에 대해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한국과 독일 두 나라 모두에서는 싱글이면 안된다는 일정한 사화적 압박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싱글로 있는 것에 대해 꽤 압박이 있다는 건 제가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겠지만.. 독일에서 싱글로 있는 것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어떨까요?

Continue reading

독일에서 느껴본 청춘의 낭만에 대해

청춘의 낭만은 뭘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에 제가 느낀 독일에서의 청춘에 대한 감상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독일에서 유학생으로 살던 시절 독일인 친구들에게 그런 소리를 종종 듣고는 했습니다. “도대체 왜 그렇게 열심히 하는 거야?” “인생을 좀 즐겨야지” 하는 소리였습니다. 물론 유학생으로서 현지인 학생들에 비해 여러 모로 열심히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인 건 사실이죠. 현지 학생들은 더 여유가 있구요. 한국에서도 어른들이 비슷하게 “젊을 때 놀아라”, “젊을 때 연애해라” 하고 흔히 말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좀 더 살다 보니 청춘에 대한 판타지랄까 낭만적으로 묘사되는 부분이 약간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 써볼까 합니다.

Continue reading

독일인의 감정 표현

독일인의 감정 또는 감정 표현 안녕하세요. 씸쏘입니다. 오늘은 제가 독일에서 6년 살면서 느낀 독일인의 감정 표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독일인이라고 해도 사람마다 성격에 따라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은 당연히 다릅니다. 저도 다양한 종류의 사람을 경험해봤답니다. 그 중 제가 느낀 소소한 흥미로운 점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이 글은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한 견해로 재미로 읽어주세요. 🙂

Continue reading

친구프로인더 블로그가 독일 매체에 등장했습니다!

카카오톡 포스트 독일 인터넷 매체 finanzen.net에 인용 친구프로인더 블로그가 독일 인터넷 뉴스 매체에 인용되었습니다. 독일 인터넷 뉴스 사이트인 finanzen.net은 2020년 6월 카카오톡의 가상화폐 전송 서비스인 Klip을 소개하였는데요. 이를 소개하면서 친구프로인더의 카카오톡을 소개하는 독일어 포스트를 인용하였습니다.   카카오톡은 한국인의 일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사 원문   소개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의 해석본을 원문 밑에 첨부합니다.   In Deutschland und Europa ist Kakao Talk aufgrund der Dominanz von WhatsApp kaum bekannt. Das Anwendungsgebiet des alternativen Messengers beschränkt sich hauptsächlich auf Südkorea. Dort sollen rund 90 Prozent der Bevölkerung die App bereits benutzen. Die Funktionen von KakaoTalk und WhatsApp sind allerdings sehr ähnlich. Beide bieten die Möglichkeit in Chatrooms Direktnachrichten zu verschicken, Sprach- und Videoanrufe zu tätigen sowie Emojis zu versenden. Durch die Einbettung von KakaoTalk in den IT-Konzern Kakao ist der Messenger Teil eines großen Systems, welches laut der Website Chingufreunde den Alltag in Südkorea wesentlich bestimmt. Diese Vernetzung des Messenger-Dienstes führte nun auch zu der Integration eines Krypto-Wallets. 기사 원문 속 인용 부분의 번역문    독일과 유럽에서 카카오톡은 Whatsapp의 지배적 위치에 밀려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필자 주: Whatsapp은 독일과 유럽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신저 앱입니다.) 카카오톡의 사용 지역은 거의 한국으로 한정돼 있다. 한국에서는 90%의 인구가 카카오톡을 사용한다. 카카오톡의 기능은 Whatsapp의

Continue reading

독일인이 말하는 독일 문화의 장점과 단점

독일인이 말하는 독일 문화의 장점과 단점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크리스티안이고 제 한국인 친구가 이 글의 번역을 도와주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독일 문화의 장점과 단점을 써보려고 합니다. 저는 30대 초반으로 뮌헨에서 자라고 현재 뒤셀도르프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저희 부모님은 독일인이 아니라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배경의 이민자 출신입니다. 독일에서 학교를 가고, 아우스빌둥을 하고,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땄습니다. 저는 제 이민 배경이 독일 문화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생각합니다. 그 덕에 독일 사회의 많은 부분을 독일인보다 비판적으로 바라봅니다. 저는 한국을 두 번 방문한 적이 있고 한국인 친구들이 있습니다. 한국을 좋아하는 이러한 배경이 제가 블로그를 개설한 이유기도 합니다. 소개는 그만하고 독일 문화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 주의: 저는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소개하는 것이고 모든 독일인들이 그렇다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독일인들이 옥토버페스트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한국인들이 김치를 좋아하는 게 아닌 것처럼요. 🙂   독일 문화의 장점   1. 별로 따뜻하지 않다 (사랑스럽지가 않음..) 이 부분은 말로 표현하기가 쉽지않네요. 하지만 제 생각에는 독일 사람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별로 따뜻하지 않은 것 같아요. 그래서 독일인들이 자주 차갑다고 묘사되는 것 같습니다. 이에 관해 자세한 예를 들기가 쉽지 않은데, 예를 들면 이탈리아나 한국 사람들이 손님을 대할 때 좀 더 따뜻한 것 같아요. 또 한국인들은 보통 서로 작은 선물을 하는데 독일에는 그런 문화가 없어요. 그리고 보통 한국인들이 식사

Continue reading
Berlin Mauer

동독 대 서독, 통일 30년 후 지금은?

West vs. Ost 인트로..  안녕하세요! 독일에  살다 보니 극우파 정당 AFD 및 동독에서 일어난 PEGIDA운동  이후 독일 사회에서 많이 마주하게 된 주제에 대해 들려드릴까 합니다. 바로  동독 대 서독 (Ostdeutschland vs. Westdeutschland)입니다. 여기서 동독, 서독이라고 말하는 것은 과거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이전 존재했던 두 개의 독일이죠. 현재 지리적 장벽은 사라졌지만 생활 수준 및 정치적 성향 부분에서 서독 지역 및 동독 지역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가장 주목을 받았던 그 차이 중 하나는 동독에서 시작된 PEGIDA 운동 및 동독에서 크게 득세하고 있는 AFD 극우파 정당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목격함으로 인해 독일 내에서는 왜 유독 동독에서 이러한 반 이민자의 정세가 우세한가에 관련하여 동독과 서독에 존재하는 차이를 돌아보고 있습니다. 이 주제는 뉴스에서도 자주 보게 되는 주제인데요. 이와 관련하여 독일 사회에 살고 있는 독일인은 어떤 견해를 갖고 있는 가가 궁금해졌습니다. 제가 갖고 있는 궁금증을 독일 친구1과 함께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Continue reading

크리스마스 스낵의 계절이 돌아오다 :)

동료가 건네준 렙쿡헨 😀 오늘 회사에서 동료가 쿠키가 담긴 볼을 건네더군요. 무심코 집어먹으려다 보니 평소에 보던 녀석이 아닙니다.. 크리스마스 시즌에 볼 수 있는 과자더라구요. „오 크리스마스??“ 하고 물었더니 „응!“하고 활짝 웃더라구요. 그저께부터 아침 저녁으로 공기에서 겨울 냄새가 나고 출근길에 핫쵸코를 사 먹고 싶어지더라니.. 드디어 겨울이, 겨울느낌이 시작되는구나 하고 느꼈답니다.

Continue reading

독일 교육 제도의 단점? feat. 독일인 C

독일 교육 제도의 단점? feat. 독일인 C 안녕하세요, 씸쏘입니다~ 흔히 한국의 교육 제도 얘기를 할 때 독일 교육제도를 좋은 하나의 예로 들고는 하는데요. 오늘은 독일의 교육 제도를 소개해 볼까 해요. 한국에서 들어보았던 흔한 독일 교육 제도 특징 중의 하나가 학생들에게 졸업 후 취업으로 바로 이어 질 수 있는 직업교육이 아닐까 하는데요.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는 만큼 교육제도도 꽤나 복잡하답니다. 흔하게 좋은 특징들로만 알려져 있는 독일 교육 제도이지만, 독일 사회에서는 독일 교육 제도가 갖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비판 및 개혁 여론이 존재한답니다. 제가 가장 많이 들었던 독일 교육 제도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부모님의 직업 또는 부의 정도와 그 자녀의 교육수준 및 향후 임금 수준에 너무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독일 사회의 시선에서 보는 독일 제도의 특징 및 장단점을 알아보기 위해, 독일인 친구인 C에게 독일 교육 제도에 대한 몇 가지 질문을 던져보았습니다.특히 초등학교 졸업 이후 고등 교육에 들어가게 되면 다양한 종류의 학교들이 존재하고 학생들이 어떤 종류의 학교로 진학하고 싶은가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선택 기준 및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Continue reading